티스토리 뷰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0kg]이고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이 100kg이라면 2번째 사람과 4번째 사람은 같이 탈 수 있지만 1번째 사람과 3번째 사람의 무게의 합은 150kg이므로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여 같이 탈 수 없습니다.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구출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의 몸무게를 담은 배열 people과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명보트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최대 2명만 탈 수 있고 무게 제한이 있는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써서 사람들을 구출하는 문제.
아이디어는 금방 생각났고 답을 찾아내는 코드는 쉽게 작성하긴 했다.
사람들이 담긴 리스트 (people) 에서 한명 또는 두명씩 빼낸다 (구명보트로 건져낸다). 구명보트는 최대 2명까지만 탈 수 있으므로 제일 무거운 사람이랑 제일 가벼운 사람 이렇게 짝지어서 보내면 항상 최적이다. 제일 가벼운 사람조차도 같이 못 태울 정도로 무거운 사람인 경우에만 1인 1보트고 그 외의 경우엔 2인 1보트다.
제일 무거운 사람이랑 제일 가벼운 사람을 짝짓기 위해서 (어감이 쫌 이상한데...) people을 정렬한다.
그 다음 people 리스트의 크기가 0이 될 때까지 (=모든 사람들을 구출할 때까지) 사람들을 짝지어서 구명보트에 태운다. 태우고 나면 people 리스트에서는 없앤다. 반복문을 돌때마다 answer를 1씩 증가시킨다.
def solution(people, limit):
people.sort();
answer = 0;
while (len(people) > 0):
if people[-1] + people[0] > limit or len(people) == 1:
del people[-1];
else:
del people[-1], people[0];
answer = answer + 1;
return answer
프로그래머스의 CBT 시스템에서는 '정확성 테스트' 랑 '효율성 테스트' 라는걸 하는데, 정확성 테스트에서는 100% 패스가 나왔다. 그러니까 답을 구해내긴 한다는 소리다.
그런데 효율성 테스트에서 테스트 2~5번은 패스가 됐는데 테스트 1번에서만 시간 초과가 떴다. 2~5번까지 아예 다 실패가 뜨면 아 내가 너무 느리게 짰구나 생각했을텐데 그것도 아니고 하나만 달랑 실패가 떠서 좀 당황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짠 코드를 살짝 봤다.
아이디어 자체는 똑같은데, del을 써서 실제로 리스트의 원소를 지우는게 아니라 그냥 인덱스 변수를 처음이랑 끝에 2개 두고 중앙으로 좁혀오도록 만들면 됐다. 생각해보면 실제로 구명보트에 사람을 태우는게 문제가 아니라 구명보트가 몇개 필요한지 구하기만 하면 되는 문제다.
def solution(people, limit):
people.sort();
answer = 0
start_cursor = 0;
end_cursor = len(people) - 1;
while (start_cursor <= end_cursor):
if people[end_cursor] + people[start_cursor] > limit:
end_cursor -= 1;
else:
start_cursor += 1;
end_cursor -= 1;
answer = answer + 1;
return answer
이렇게 바꿨더니 100% 패스가 떴다. 근데 그게 그렇게 큰 차이였을까?
결론: 파이썬의 del 키워드를 이용해서 객체를 지울 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든다.